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이동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여주시죠? 상왕과 상황제. 사극에서 자주 보던 인물들인데, 누구 이야기입니까? <br><br>오세훈, 안철수 두 야권 서울시장 후보 이야기인데요. <br><br>상왕과 상황제가 있다는 공세가 오갔습니다. <br><br>Q. 먼저 상왕부터 살펴볼까요? 왕 뒤에 더 힘이 센 물러난 상왕이 있다는 건가요? <br><br>네,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국민의힘을 비판하면서 한 이야기인데요. 누구를 상왕으로 말한 건지는 직접 보시죠. <br><br>[안철수 / 서울시장 국민의당 후보 (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<br>후보끼리 합의에 대해서 국민의힘에서 오신 협상 대표분들이 인정을 안 하시는 겁니다. 그래서 저는 이건 후보 뒤에 상왕이 있는 것은 아닌가. <br> <br>[김종인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] <br>내가 상왕이 아니라 나는 국민의힘에 대표하는 사람이에요. 그리고 협상이 안 되는 거는 왜 안 되느냐. 간단해요. 자, (안철수 후보가) 토론을 잘 안 하겠다 이렇게 얘기를 해요. <br> <br>안 후보는 오 후보 뒤에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상왕처럼 앉아 단일화를 막고 있다고 주장한 겁니다. <br><br>Q. 김 위원장이 그동안 안 후보가 들으면 섭섭할 만한 얘기를 많이 하긴 했죠. <br> <br>저희가 좀 모아봤는데요, 안 후보 입장에서는 쌓인 게 많았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[김종인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(지난 1월)] <br>서울시장 후보가 된다는 것에 집착하는 사람이 <br><br>[김종인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(지난 1월)] <br>안타깝긴 합니다만…. <br> <br>[김종인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(지난 10일)] <br>야당에는 국민의힘 후보가 될 수밖에 없다 <br><br>[김종인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(어제)] <br>아니, 토론도 할 수 없는 사람이 <br> <br>[김종인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(어제)] <br>시장 노릇을 어떻게 할 거예요. <br><br>Q. 상황제 이야기는 반대로 안 후보를 비판하는 국민의힘에서 나온 건가 보죠? <br><br>네, 이준석 전 미래통합당 최고위원이 안철수 후보를 향해 '여자 상황제'의 조종을 받고 있다는 말 들어봤냐고 했습니다.<br><br>Q. 여자 상황제가 누구입니까? <br> <br>제가 직접 물어봤습니다. <br><br>[이준석 / 전 미래통합당 최고위원 ('여랑야랑' 통화)] <br>안철수 대표 쪽에서 의사결정 구조에 가족이 과도하게 개입되는 거 아니냐 이런 지적을 하신 분들이 많았기 때문에…. <br> <br>의사결정구조가 비합리적이라서 안 후보를 떠난 사람이 많다는 게 이 전 최고위원 주장인데요. <br> <br>여자 상황제는 부인인 김미경 교수를 지칭한 것으로 보이는데, 안 후보 측은 "대응할 가치가 없다"고 말했습니다.<br><br>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뼈 때리는 정의당? 뼈 때리다, 제가 아는 그 뜻 맞나요? <br><br>네, '정곡을 찌른다'는 뜻인데요. <br> <br>여권에서 부동산 적폐를 청산하겠다고 하자, 정의당은 이건 '문재인 정부'의 적폐라고 못 박았습니다. <br> <br>이 뿐만이 아닙니다. <br><br>[심상정 / 정의당 의원] <br>그동안 부동산 정책의 실패와 만연한 공직자 투기에 대한 대통령의 분명한 사과가 필요합니다. <br> <br>[심상정 / 정의당 의원 (지난 9일)] <br>정부는 셀프조사에 매달려 일주일을 허비했습니다. 이 정도면 투기 불감증 정부라는 지탄을 받아 마땅합니다. <br> <br>어제는 정의당에서 나서서 민주당 소속 세종시의원이 국가산업단지 인근 땅을 샀다며 투기 의혹을 제기했습니다. <br><br>Q. 20대 국회 때는 '민주당 2중대' 이야기를 들었었는데, 완전히 달라진 건가요? <br> <br>달라졌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거대 여당이 된 민주당이 20대 국회만큼 정의당을 챙겨주지 않는 측면도 있고요. <br> <br>LH 사태로 민주당에 실망한 진보층을 끌고 오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 <br><br>당 대표에 단독 출마한 여영국 전 의원은 오늘 "조국 사태 때 정의당이 보인 모습이 국민으로부터 불신을 받게 된 출발이고 배경이었다"는 반성도 했습니다. <br><br>Q. 조국 사태 때 정의당 대표가 심상정 의원이었잖아요? <br> <br>네, 당시 조국 전 장관의 임명에 찬성했었습니다.<br><br> <br> <br>오늘의 여랑야랑은 '달라졌네'로 정해봤습니다. <br><br>Q. 여 전 의원, 당시 국민에게 오답을 냈다는 오늘 반성도 기억에 남더군요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